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백내장, 단계별 관리법과 수술 시기 총정리

by 퍼플찰떡 2025. 4. 15.
반응형

반려견이 백내장 진단을 받았다면 보호자 입장에서 걱정이 앞서기 마련입니다. 수술이 필요한지, 그냥 지켜봐도 되는지, 안약이나 영양제로 관리가 가능한지 등 궁금한 점이 많으시죠?

 강아지 백내장의 4단계별 관리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릴게요.

백내장은 4단계로 나뉘어요

강아지 백내장은 진행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1단계 (초기): 백내장이 시작되는 단계로 아직 시력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 2단계 (중기): 흐릿하게 안개 낀 것처럼 보이며 시력 저하가 시작됩니다.

3. 3단계 (진행기): 백내장이 거의 전부 진행되어 시력 상실에 가까워집니다.

4. 4단계 (완전 백내장): 렌즈 전체가 백색으로 변하며, 수술 성공률도 다소 떨어지게 됩니다.

 

1단계: 일단 지켜보되, 정기검진이 중요

- 지연제나 영양제 복용은 선택: 항산화 성분의 백내장 지연제가 있긴 하지만 효과는 미미하다고 해요. 논문으로도 뒷받침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3~6개월 간격 정기검진 필수: 진행 속도를 확인해 2단계로 넘어가는지 관찰해야 합니다.

백내장 초기에는 급하게 치료하기보다는 주기적인 병원 방문과 시력 변화 체크가 중요해요.

2단계: 수술 고려 시작 시점

- 시력 저하 발생: 안개 낀 듯한 시야로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 보호자가 눈치채기 어려움: 한쪽 눈만 시력이 떨어져도 나머지 눈으로 잘 보기 때문에 증상을 모르고 지나칠 수 있어요.

- 검사 후 수술 여부 결정: 뿌연 정도나 시각 장애 여부를 판단 후 수술을 고려합니다.

3단계: 수술이 더욱 권장되는 시기

- 거의 시력 상실 상태

- 포도막염, 녹내장 등 합병증 가능성 증가

- 수술 성공률 90% 수준 유지

이 시기에는 수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시는 것이 아이의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합니다.

4단계: 수술 성공률 다소 낮아짐

- 수술 성공률 약 80~85%로 떨어짐

- 포도막염 등 염증 질환 철저히 관리 필요

- 수술을 하지 않더라도 정기적인 안과 검진 필수

수술이 늦어졌더라도 염증 억제를 위한 안약 처방 및 꾸준한 진료가 필요합니다.

백내장 안약? 염증 억제용 안약이에요

간혹 ‘백내장 안약’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들이 있는데요, 사실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고 해요. 백내장 치료보다는, 백내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포도막염)을 막기 위한 안약 처방이 중요합니다.

⚠️ 주의! 포도막염 치료제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병원에서 진료 후 처방받아야 합니다.

마무리 정리

백내장 단계 | 시력 상태 | 관리 방법 | 수술 필요성

-------------|-------------|-------------|----------------

1단계 | 거의 정상 | 정기검진, 선택적 영양제 | 낮음

2단계 | 시력 저하 | 정밀검사, 수술 고려 | 중간

3단계 | 시력 상실 | 수술 권장, 합병증 예방 | 높음

4단계 | 완전 백내장 | 염증 관리, 수술 성공률 낮아짐 | 상황에 따라

 

 

반응형